1
한자숭배(漢字崇拜)
○ 경석자지(敬惜字紙) ○ 은자참요(隱字讖謠) ○ 황군법행전(黃君法行磚)
문자는 인류가 몽매에서 문명으로 나아가는 상징이며 수천 년 동안 중국인들은 자신들이 사용하는 문자에 대해 특별한 감정을 가져왔다. 그것은 바로 한자 숭배이다. 한자가 생겨난 날부터 사람들은 한자가 어디에서 왔는지, 한자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그리고 한자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해왔다. 사람들은 한자가 신비로운 인물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믿었으며, 이러한 신화적 존숭(尊崇) 의식을 사회 생활의 모든 측면에 걸쳐 적용했다. 이에 경석자지(敬惜字紙), 피휘(避諱), 자참(字讖), 측자(測字), 벽사자(辟邪字) 등 한자 민속 현상이 나타났다.
2
한자속해(漢字俗解)
한자의 형체나 의미에 대한 대중의 자의적 해석
한자 속해는 한자의 형체나 의미에 대한 대중의 임의적인 해석을 가리킨다. 문자학의 관점에서 보면 다수의 한자 속해는 큰 가치를 지니지 않는다. 그러나 역사적으로나 현재 사회에서나 한자 속해는 사람들에게 흥미로운 일이다. 예를 들어 산동성(山東省) 곡부공부(曲阜孔府)의 대문에는 기효람(紀曉嵐)이 쓴 대련(對聯)이 있는데 그중"富(부)"자는 위쪽에 점이 하나 적고, "章(장)"자는 세로 획이 "曰(왈)"자를 관통한다. 그리하여 어떤 사람은 이 변화된 자형(字形)을 "부귀무정(富貴無頂)" "문장통천(文章通天)"으로 해석하였다.
3
한자유희
○ 자미원보침(字謎元寶枕)  ○ 동자이음련(同字異音聯) ○ 반중시(盤中詩) ○ 자령(字令)
한자의 독특한 형체때문에 고금의 문인과 선비들은 한자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적 유희를 창조해냈다. 예를 들어 자미(字謎:글자 수수께끼), 대련, 자시(字詩), 해자령(拆字令) 등이다. 그중 자미는 "모든 수수께끼의 근원"으로 불린다.
4
지방민속자

지방민속자는 지방적 특징을 지닌 속자(俗字)를 말한다. 지방 민속자는 민간 문헌에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계약서, 석각 문자(石刻文字), 명청 통속 소설(明清通俗小説), 속자 식자(識字) 교재, 잡자(雜字) 문헌에 대량의 지방민속자가 존재한다.

잡자 문헌도 사실 식자 교재에 속하며 민간 하층 사회에서 널리 유행했다. 잡자 집필자의 문화 소양이 대부분 높지 않고 교육 대상도 모두 문화 수준이 높지 않은 하층 백성였기 때문에 잡자에는 지방민속자가 많이 섞여 있었다.

잡자 중 가장 유행한 것은 ≪사언잡자(四言雜字)≫이다. 관련 학자들의 초보적인 통계에 따르면 전국 각지에서 사용된 ≪사언잡≫은 적어도 500종이 넘는다. 전형적인 ≪사언잡자≫는 형식상 ≪천자문(千字文)≫과 유사하여 읽기에 쉽고 흥미롭다. 잡자는 식자 기능 외에도 지식과 기술의 전수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허베이(河北) 지역에서는 매매업을 위해 특별히 편찬된 ≪매매잡자(買賣雜字)≫와 ≪상농잡자(商農雜字)≫ 가 나타났다.

5
조합민속자

조합 민속자는 중국 민속 문화의 특수한 유형이다. 그중에는 복을 빌고 축원하는 뜻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민속길상자(民俗吉祥字)"라고 부르기도 한다.

청강희청화만수대병(清康熙青花萬壽大瓶)은 병체에 만 개의 서로 다른 "壽(수)"자가 가득 차 있는데 "萬壽(만수)"를 의미한다. 이는 청나라 경덕진(景德鎮) 어요장(御窯廠)에서 강희황제(康熙皇帝)의 60번째 생신을 축하하기 위해 바친 선물이다.

6
장식민속자
○ 와당(瓦當) ○ 십이분채화신배(十二粉彩花神杯) ○ 월왕석창(越王石矛)
서한(西漢) 시대에 문자 장식이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와당(瓦當), 동경(銅鏡), 직금 문자(織錦文字)가 많이 사용되었다. 사람들은 보통 길상과 격려, 혹은 경사를 표현하는 한자를 선택하여 형상과 의미의 아름다움을 동시에 이루고자 했다.
7
신비민속자
○ 여서(女書) ○ 서방진문진묘전(西方真文鎮墓磚)

신비민속자는 어떤 업종이나 단체가 특정 상황에서 사용하는 특별한 문자를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사회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고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교문자(道教文字), 여서(女書), 업종비자(行業秘字) 등이 있다.

"여서(女書)" 는 지금까지 세계에서 유일한 여성 전용 문자로, 2006년에 중국 제1차 국가급 무형문화유산명부에 선정되었다. 여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쓰이며, 글씨체는 수려하고 날렵하다.

서방진문진묘전(西方真文鎮墓磚)은 완전한 세트가 다섯 개로, 동, 남, 서, 북, 중 5합(合)으로 나뉘며, 같은 무덤의 묘지 형태와 비슷하다. 벽돌 에 새겨진 문자는 도교 운전(道教云篆)에 속하며, "진문(真文)"이라고도 한다. 이 문자는 망자의 영혼을 달래고 생자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다.